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중무역분쟁
- 자도자도 피곤해
- 자기개발
- 파이썬 자동화
- 공기업논술
- 판다스
- 못할 것 같은 일 해내기!
- 숲 vs 나무
- NCS공부방법
- 셀레니움
- 청춘을 위한 독서
- 웹 데이터 추출
- 스태틱메서드
- 이터러블
- iterable
- 안녕 매튜
- python class
- 나 뭐하고 살지
- 클래스메서드
- SEF2019
- 업무를 잘하는 방법
- 이터레이터
- 커서뭐하지
- Cowork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필기
- 캐시 란젠브링크
- 테일러피어슨
- 직업의종말
- 파이썬 클래스
- 서평
- Today
- Total
목록서평 (10)
지훈생각
군대에서 태백산맥을 읽고 싶었으나 찾을 수 없어 대신 읽게 된 '정글만리'. 간결한 문체와 뚜렷한 주제의식에 반해 더욱 커진 조정래 작가에 대한 관심. 전역과 동시에 읽은 태백산맥과 이어진 아리랑, 그리고 한강 완독. 근현대사 3부작이라 일컬어지는 조정래 작가의 작품들을 읽고 나서, 30여권이 넘는 대하소설을 모두 읽었다는 뿌듯함과 함께 더 많은 독서를 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 그 전에, 조정래 작가의 유일한 자전적 에세이 '황홀한 글감옥'을 빌려 보게 되었다. 독자들의 대표적인 질문들에 대한 답변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작가 본연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꽤나 많은 대학생들이 책을 읽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생각을 갖고 적극적으로 질문을 하는 모습 등은 소극적인 나에게 큰 자극이 되었다. 단순..
데미안의 작가 헤르만 헤세가 쓴 부처 싯다르타의 이야기. 인간의 세속적인 욕망과 종교적 깨달음을 대비하고 있다. 먹어본 놈이 안다고, 마냥 비우고 없앤다고 해서, 경험해보지 않은 것까지 없앨 수는 없다. 일단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게 중요하다고, 싯다르타 역시 말한다고 느껴진다. 내가 한가지 감명 깊게 읽었던 부분은 바로 일체성. 강이 흐른다. 윗물도, 아랫물도 모두 똑같지만 위치만 다르다, 그리고 그 같은 것들이 중턱에서는 쉼없이 흐르고 있다. 이러한 강물은 바다로, 냇가로, 계곡으로 흘러들어가고 증발하여 결국 다시 비로 내린다. 결국 돌고 도는 거다. 특히 시간을 포함한 어떤 것이든, 끊어진 것은 없다. 다 연속적이고 결국 하나이다. 내가 지금 멘토링을 듣고 있는 시간과, 내가 집에서 쉬고 싶다고 느..
막연하게 갖고 있던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해 더 알고 싶은 마음이 컸기에 읽게 된 책. 가장 기억에 남는 키워드는 원칙, 소신, 정의 이다. 자신의 뚜렷한 주관을 갖는 것에 대해 고집불통이라는 소리를 들을 염려가 있기에 그동안의 나는 내 주관을 말하는 것을 어려워 했다. 이제는 내 주관이 필요한 때가 되었고 이를 갖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그동안의 습관 때문인지 쉽지 않다. 나는 요즘, 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뭘 하고 싶은 지 나도 나를 잘 모르겠다. 나도 나를 잘 모르겠다는 이 사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달랐을까? 적어도 책을 통해 만난 그는 나와는 달랐던 것 같다. 자기만의 주관, 자기만의 생각, 자기만의 고집으로 정치를 했고 17대 대통령을 마무리 했다. 그 과정에서 자기와 맞지 않는 ..
뭐하고 살지? 라는 의문에 답을 찾기 위해 읽었지만 역시 찾을 수 없었다...ㅠ_ㅠ 한가지 얻은 건... 그냥 이거저거 많이 해보는 거? 이거저거 많이 해보구 내가 좋아하는 걸 찾아야 한다는 거 취업 시즌이라고, 여기저기 막 쓰기 보다는 진짜 내가 원하는 걸 찾으라는 것. 글 많이 써보기.